영화 초행: 동거의 일상과 부모 세대의 그림자 사이—관계의 관성으로 오늘을 버티는 두 사람의 미세 진동 기록
김대환 감독의 <초행>(2017)은 동거 중인 20대 후반 커플 ‘지영’과 ‘수현’이 각자의 부모 집을 차례로 방문하는 며칠을 따라가며, ‘결정’ 대신 ‘보류’로 살아가는 동시대 청년의 관계 문법을 정밀 채집한다. 사건은 작다. 임신 불안, 취업 불안, 집 문제, 부모의 기대 같은 생활 압력이 대사와 정적 사이로 스며든다. 영화는 롱테이크와 정적인 구도, 생활 소음과 겹말·되말의 대화 리듬을 통해 감정의 과열을 거부한다. 흥행은 크지 않았지만, ‘크지 않아서 보이는 것들’을 밀도 높게 포획한 이 작품은 한국 독립영화 미니멀리즘의 중요한 좌표로 남는다. 결혼·출산·안정이라는 사회적 경로를 빗겨난 두 사람의 표정에서, 관객은 ‘초행(初行)’이라는 제목의 이중 의미—처음 걷는 길이자, 익숙해질 수 없는 길—을 읽게 된다. 서론: ‘초행’이라는 제목의 이중 노선—처음과 반복 사이에서 길 찾기 <초행>의 첫 감각은 느림과 망설임이다. 영화는 동거 커플의 일상을 큰 기승전결로 몰아가지 않는다. 대신 소파에 앉아 휴대폰을 스치고, 택시에 올라 서로의 말끝을 주워 담고, 부모의 집 초인종 앞에서 발을 비비는 등, 미세한 행동의 연쇄를 정확하게 배치한다. 이때 제목 ‘초행’은 한 가지 뜻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첫 번째 뜻은 말 그대로 ‘처음 가보는 길’이다. 두 사람은 각자의 집으로 함께 들어가 본 적이 거의 없고, 상대의 가족 문법을 손에 잡히게 익히지도 못했다. 그러나 다른 뜻도 있다. ‘자주 가더라도 늘 초행 같은 길.’ 어제와 비슷한 오늘을 반복하지만, 안정의 좌표가 없으니 매번 길을 더듬게 되는 생활. 영화가 조용히 가리키는 것은 바로 이 모순이다. 익숙하지 않은 반복. 관계는 진행되는데, 제도는 대기 중이고, 감정은 있되 형식은 없다. 감독은 이 ‘형식의 공백’을 판결하지 않는다. 대신 관찰한다. 롱테이크로 한 방을 오래 붙들고, 인물의 등을 보게 하고, 문과 창으로 프레임을 나눈...